중국은 지난해 11월 무비자 정책을 시행했다. 중국의 관광산업은 단 1%만 인바운드 관광이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폐쇄적인 관광 정책을 펼쳐왔다. 하지만, 지난해 무비자 정책을 확대·시행하며 국가의 빗장을 열고 외국인 관광객을 맞을 준비를 시작했다. 한국의 관광업계는 변화하는 중국의 정책에 따라 본격적으로 중국을 맞이할 준비를 해야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규한 기자> gtn@gtn.co.kr
여행업 종류
중국문화여유부에 따르면 중국 여행업은 국내,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3종류로 나뉜다. 전체 관광산업 중 국내 관광이 89%, 인바운드 관광이 1%, 아웃바운드 관광이 10%의 비중을 나타낸다.
국내 관광
국내 여행 상품을 취급한다. 국내 상위 송출 지역으로는 저장, 장쑤, 광둥 순이다. 상위 수용 지역은 후베이, 저장, 후난인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은 지난해 3분기 국내 관광만으로 2억5100만명의 사람들에게 국내 관광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인바운드 관광
외국인 관광객에게 국내 여행 상품을 취급한다. 관광객 수 상위 10개 국가로는 중화권을 제외한 베트남, 한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있다.
3. 아웃바운드 관광
해외 여행 상품을 취급한다. 해외여행 상위 국가로는 중화권을 제외한 태국, 일본, 한국순이다.
2. 여행사 등록 개수
중국문화관광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중국 내 6만2766개의 여행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 여행사: 6만2766개
중국 내 지역별 여행사 Top3
베이징: 7998개
광둥: 4768개
산둥: 3966개
3. 여행관련 협회 및 기관
중국문화여유부 (MCT)
중국의 문화와 관광 산업을 총괄하여 관리하는 중국 국무원 소속 기관이다. 문화관광 정책을 연구 수립하고 문화관광 법률을 제정한다. 문화산업 및 관광산업 발전 전략 마련, 문화유산 보호 등을 담당하고 관광산업 감독 및 관리를 통해 산업의 질서 있는 발전을 도모한다. 국제 문화 교류를 촉진하고 국가 중점 문화 시설의 건설을 통해 중국의 문화와 관광 산업의 조화로운 발전과 국제적 교류를 촉진하고 있다.
중국관광협회 (CTA)
CTA는 중국 관광 산업과 관련된 기업, 기관 및 사회 단체가 자발적으로 결성한 사회단체이다. 중국 정부부서, 기타 사회단체 및 회원과 협력하여 관광 시장의 번영과 안정, 관광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촉진한다. 협회는 10개 이상의 지부와 200개 이상의 회원사와 30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4. 여행업 종사자수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중국 통계 연감 2024에 따르면 여행업이 포함되어 있는 여행업 종사자수는 다음과 같다.
숙박 및 요식업 평균 종사자수: 288만명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평균 종사자수: 827만명
문화 체육 및 오락업 평균 종사자수: 147만명
5. 여행업 임금수준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중국 통계 연감 2024에 따르면 여행업이 포함되어 있는 업종의 평균 임금수준이다.
숙박 및 요식업 평균 연봉: 5만8094위안 (1,165만원)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평균 연봉: 10만9264위안 (2,192만원)
문화 체육 및 오락업 평균 연봉: 11만7334위안 (2,354만원)
6. 여권
중국의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전체 인구수는 14억1932만명으로 세계 2위다. IATA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헨리앤파트너스가 발표한 여권 지수에 따르면 중국은 83개 국가를 무비자로 입국 가능하며 세계 60위다.
7. 한국과의 교류
중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무비자 정책 시행 이후 적극적으로 인바운드 시장 확대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법무부 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을 방문한 한국인은 231만명이다. 반면,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은 404만명으로 한국의 인바운드 시장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비자 정책으로 올해는 한국과 인·아웃바운드 시장 확대 및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분석된다.
목차
1, 2.https://zwgk.mct.gov.cn/zfxxgkml/tjxx/202412/t20241224_957299.html
4.https://www.stats.gov.cn/sj/ndsj/2024/indexch.htm (목차 4-6)
5.https://www.stats.gov.cn/sj/ndsj/2024/indexch.htm (목차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