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Headline> News
제1199호 2024년 04월 15 일
  • ‘PCI DSS’ 시행1년째... 아직도 헷갈려요

    시행 1년째 ···해결 되지 않는 ‘중소여행사의 낮은 이해도’



  • 김기령 기자 |
    입력 : 2019-08-02 | 업데이트됨 : 10일전
    •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 가 - 가 +

 에디터 사진

 

 

지난해 새롭게 도입된 제도였던 PCI DSS(Payment Card Industry-Data Security Standard, 신용카드 데이터보안 표준)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중소여행사들은 여전히 제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조차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마다 인증을 갱신해야하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제대로 된 정보 제공이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불만이 야기되고 있다.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행사 관계자들 중에는 “내 돈을 내고도 찝찝하다”는 이들이 많았고 “용어조차 처음 듣는다”며 생소해하는 이들도 있었다.

 

 

PCI DSS에 대한 혼란은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3월 PCI DSS 미준수 시 여행사들에 신용카드거래제한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다는 IATA 결의안이 발효된 이후 IATA 측은 600여 개에 달하는 우리나라 BSP 여행사들에게 PCI DSS 인증 신청서를 전달하고 2018년 7월18일을 마감 기한으로 공지했다.

 

 

여행사들은 신용카드 거래가 제한되면 당장의 수익이 사라지기 때문에 신청서 컨설팅을 받기도 하고 웃돈을 주고 신청 대행업체를 이용하면서 인증서를 제출했다.

 

 

당시 컨설팅 비용은 해당 여행사의 BSP 규모에 따라 30만 원 이상부터 책정됐으며 300만 원까지도 웃돈을 주고 인증 업무를 대행한 여행사도 있었다고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났다. 지난 7월 여행사들은 IATA 인증 갱신 메일을 받고 서류를 다시 제출했다. 한 여행사 항공 발권 관계자는 “메일로 온 자료를 보고 결제하고 다시 제출하라고만 돼있었다”며 “갱신 과정이 어렵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이를 통해 여행사 측면에서 개선되는 점은 무엇인지 의문스러웠다”고 전했다.

 

 

PCI DSS는 지난해 7월부터 IATA가 한국에 도입해 운영한 제도로 신용카드 정보 유출 같은 신용카드 거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됐다. 그러나 제도에 가입하지 않으면 미제출 여행사 리스트가 항공사로 통보되고 항공사 정책에 따라 신용카드 발권에 불이익이 가해질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600여 개 BSP 여행사는 촉박한 시간 내 신청서를 제출하기 위해 바쁘게 움직였다.

 

 

처음 시행되는 제도에 대한 여행사들의 혼란과 불만이 가중되면서 1년 전 당시 IATA는 부산과 서울에서 PCI DSS 설명회를 개최했다.

당시 IATA와 함께 설명회 진행에 나섰던 GDS사 토파스의 한 관계자는 “PCI DSS는 여행사에게 낯설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제도이기 때문에 여행사의 고충이 있는 것이 당연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설명회를 열어 신청방법 등을 설명하고 질의응답을 진행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말했다.

이렇듯 IATA는 여행사 관계자들의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여행사들의 의혹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강제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부랴부랴 가입했지만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정보도 지속적으로 제공해주면 좋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한편, 여행사 항공, 보안 담당자들이 너무 무지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늘 과거에만 얽매여있고 새로운 것을 거부하는 습성을 버려야 한다”면서 “좋은 취지에서 시작한 제도이기 때문에 빠르게 배워서 습득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전했다.

 

 

KATA 측도 여행사들의 불만 사항을 접수받고 IATA와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KATA 관계자는 “PCI DSS 운영과 관련해서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IATA와 7월 말 협의를 진행했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개선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기령 기자> glkim@gtn.co.kr

 


    금주의 이슈

    이번호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