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특집
제1200호 2024년 05월 06 일
  • [창간20주년특집-만족도 설문조사] 한국 여행산업 미래에 대한 여행업 종사자 인식도

    글로벌 OTA 대비 낮은 경쟁력, 급여 및 업무환경 개선 요구 높아



  • 김기령 기자 |
    입력 : 2019-04-01
    •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 가 - 가 +

에디터 사진

 

 

여행업계 종사자들이 생각하는 여행업은 어떨까. 여행업 종사자 1168명에게 ‘한국 여행산업의 미래에 대한 귀하의 인식은 어떠합니까?’라는 질문에 55%가 여행업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했다.

 

 

비관적으로 보는 가장 큰 요인은 글로벌 OTA보다 경쟁력이 낮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전체 응답자 중 31%가 급여 인상과 업무 환경 개선을 타 산업 대비 여행산업이 개선해야 할 최우선 과제라고 답했다.

 

 

<김기령 기자> glkim@gtn.co.kr

 

 

에디터 사진

 

우리나라 여행산업의 미래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 여행업 종사자들의 55%는 ‘비관적이다’라고 답했고 45%는 ‘낙관적이다’라고 답했다.

 

 

한국 여행업의 미래를 ‘비관적이다’라고 답한 응답자 660명 중 43%가 ‘글로벌 OTA 대비 낮은 경쟁력’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여행산업의 구조 변화(24.2%) △여행객의 인식 변화(23.6%) △비 전문성(6.7%) △기타(2.4%)가 뒤를 이었다.

 

 

에디터 사진

 

에디터 사진

 

 

비관적으로 판단하는 요인에 대해서는 연령과 경력에 관계없이 고루 비슷한 분포를 나타냈다. 그중 여행 산업의 미래가 비관적이라고 응답한 30대 응답자 308명 중 약 50%가 한국 여행업이 글로벌 OTA 대비 경쟁력이 낮다고 판단했다. 경력별로는 5~10년 경력의 종사자들의 절반이 ‘글로벌 OTA 대비 낮은 경쟁력’을 가장 큰 비관 요인으로 꼽았고 10년 이상 경력자의 45.2%가 같은 의견을 보였다.

 

 

10년 이상 근로자와 20년 이상 근로자 중에는 여행산업의 구조 변화가 여행산업을 비관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요인이라고 응답한 응답자도 약 30%에 달했다. 이전과 다르게 빠르게 재편되는 여행산업의 구조에 발빠르게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에디터 사진

 

낙관적인 이유는 ‘새로운 변화’와 관계가 깊었다. 응답자 중 ‘여행객의 인식 변화’라고 답한 비율이 56.4%로 가장 많았다. ‘글로벌 OTA를 통한 시장 확대’가 25.6%, ‘저가 항공사의 서비스 확대’가 18%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젊은 층의 비율이 높았다. 20대 중 절반 이상이 ‘여행객의 인식 변화’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고 30대 응답자 역시 67.5%가 응답했다. 

 

 

에디터 사진

 

반면, 60대 응답자들은 ‘여행객의 인식 변화’보다 ‘저가항공사의 서비스 확대’(100%)를 낙관 요인으로 꼽았다. 재직 기간에 따라 인식에 차이도 보였다. 5년 미만 종사자는 ‘글로벌 OTA를 통한 시장 확대(28.9%)’를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했고 5~10년 종사자는 ‘여행객의 인식 변화(65%)’를, 10년 이상 종사자도 ‘여행객의 인식 변화(45.1%)’를, 20년 이상 종사자도 ‘여행객의 인식 변화(48.3%)’를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응답했다.

 

 

에디터 사진

 

 

에디터 사진

 

 

여행업 종사자들은 월급과 근무 환경에 대한 개선을 가장 시급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산업에 비해 여행산업이 특히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응답자들의 31.2%가 ‘노동법에 준하는 월급과 업무 환경 보장’을 가장 큰 개선사항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산업 발전을 위한 업체들의 재투자(24.1%) △경영진의 전문성(22%) △전문성 재고를 위한 양질의 교육(18.1%) △기타(4.6%) 순이었다. 설문의 마지막 문항인 ‘귀사의 밝은 미래를 위해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라는 서술형 문항에서도 △연봉 테이블 개선 △연봉 인상 △직원 처우 개선 등 급여 관련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전문경영인 체제 △IT 기술 개발 △관습에서 벗어나 트렌드를 이끌어나갈 비전 마련 △시장환경에의 신속한 적응 △전문성 제고 등 다양한 답변이 나왔다.

 

 


    금주의 이슈

    이번호 주요기사